Quick Search

icon_history icon_history 최근 본 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관심제품
icon_as icon_as 서포트툴
icon_cs icon_cs 고객 서비스

QUICK SEARCH

icon_menu
icon_history icon_history

최근 본 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관심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서포트 툴

icon_cs icon_cs

고객 서비스

이곳은 제품 및 회사에 관련하여 자주 물어오는 질문을 문답형식으로 정리하여 놓은 곳입니다.
이곳에 없는 사항은 고객문의 게시판을 이용하거나 담당자 E-mail로 직접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q
[Stepping]
AZ 시리즈 다축 드라이버와 주식회사 키엔스제 PLC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원격 입력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close_arrow open_arrow

 

FREE를 예로 원격 입력에서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다음 절차에 따라 수행하십시오.

(주식회사 키엔스제 KV STUDIO의 등록 모니터를 사용해, 위치결정·모션 유닛은 KV-XH04ML, 선두 릴레이 번호는 R34000, 축 번호 1의 경우를 예로 설명합니다.)

 

①당사 지원 소프트웨어 MEXE02를 사용하여 원격 I/O에 FREE를 할당한다. (이번에는 NET-IN0에 할당)

 

 

② 버퍼 메모리 어드레스 「MECHATROLINK-Ⅲ SVCMD_IO」[#2135+100×(축 번호-1)]의 R-IN0(FREE)에 해당하는 비트를 1(ON)으로 한다.

 

 

③대상이 되는 축의 게인 전환 릴레이(선두 릴레이 번호+400×(축 번호-1)+506)를 ON으로 한다.

 

q
[Stepping]
AZ 시리즈 다축 드라이버와 주식회사 키엔스제 PLC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소프트 리밋을 설정하고 싶은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close_arrow open_arrow

주식회사 키엔스제 KV STUDIO의 축제어 설정 - 소프트 리미트로 설정해 주십시오.

소프트 리미트 검출시는 위치결정·모션 유닛에서 에러([202] 정방향 소프트 리미트 에러, 또는 [203] 부방향 소프트 리미트 에러)를 검출합니다만, 위치결정·모션 유니트에서의 좌표 관리에서의 에러 때문에 드라이버에서는 특히 정보나 알람은 발생하지 않습니다.


<보충>

당사 서포트 소프트 MEXE02를 사용하는 것으로, 드라이버 본체에 소프트 리미트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만

주식회사 키엔스제 KV STUDIO로 설정한 소프트 리미트의 설정과는 관련이 없습니다.

기본적으로는 좌표 관리는 위치결정·모션 유닛으로 행하기 때문에, 소프트 리미트는 상기와 같이 주식회사 키엔스제 

KV STUDIO로 설정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여기에서는 참고까지 드라이버 자체에서 소프트 리미트를 검출하고 싶은 경우의 설정 방법을 설명합니다.


1. 당사 지원 소프트웨어 MEXE02의 공통 파라미터 - 리미트 설정을 48로 설정합니다.

 
리미트 설정(25h) 상세
Bit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기
 

2. 기기 파라미터 - 기본 설정 - 소프트 리미트 설정
 

소프트 리미트 검출 후에는 다음과 같은 상태가 됩니다.

① 소프트 리미트 오버 트래블 설정이 즉시 정지, 감속 정지의 경우

정지 후 모터는 유지력이 있습니다. 드라이버의 POWER LED, ALARM LED는 동시에 2회 점멸.

위치 결정·모션 유닛의 에러는 [204] 정방향 리미트 에러, 또는 [205] 부방향 리미트 에러.

주식회사 키엔스제 KV STUDIO에서 설정한 소프트 리미트가 아니기 때문에 [202] 정방향 소프트 리미트 에러, 또는 [203] 부방향 소프트 리미트 에러가 되지 않습니다.

 

② 소프트 리미트 오버 트래블이 즉시 정지(알람 발생), 감속 정지(알람 발생)인 경우

정지 후, 모터는 유지력이 없다. 드라이버의 ALARM LED 7회 깜박임(소프트웨어 오버트래블).

위치 결정·모션 유닛의 에러는 [212] 서보 레이디 체크 에러.

주식회사 키엔스제 KV STUDIO로 설정한 소프트 리미트가 아니기 때문에, [202] 정방향 소프트 리미트 에러, 또는 [203] 부방향 소프트 리미트 에러는 되지 않습니다.


q
[Stepping]
AZ 시리즈 다축 드라이버와 주식회사 키엔스제 PLC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키엔스제 KV STUDIO의 단위 좌표 변환의 360도 표시를 '한다'로 설정해서 움직이고 있는데, 전원을 재투입하면 0°의 위치가 어긋납니다. 무엇이 원인일까요?
close_arrow open_arrow

단위 좌표 변환의 360° 표시를 「한다」로 설정했을 경우, 한 방향으로 계속해서 전원을 재투입했을 때에,

0°의 위치가 어긋나는 현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설정을 한 경우에는 반드시 당사 지원 소프트웨어 MEXE02 및 주식회사 키엔스제 KV STUDIO로 

전자 기어를 변경해 주십시오.

q
[Stepping]
AZ 시리즈 다축 드라이버와 주식회사 키엔스제 PLC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ABZO 센서의 위치를 프리셋(P-PRESET)하려면 어떻게 해야 합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프리셋을 하는 방법은 이하의 1~5의 방법이 있습니다. (권장은 1 또는 2입니다)

1. 드라이버 확장 스위치(EXT-IN)로 프리셋 실행(권장)

2. 당사 지원 소프트웨어 MEXE02의 원격 운전을 사용하여 위치 프리셋 실행 (권장)

3. 다이렉트 입력(입력 신호 커넥터 CN9)에 P-PRESET 입력을 할당하여 프리셋 실행

4. 통신을 통해 프리셋 실행(원격 I/O에 P-PRESET을 할당하여 사용)

5. 통신을 통한 프리셋 실행

 

프리셋을 실행하면 원점은 모터의 NV 메모리에 저장됩니다.

NV 메모리의 쓰기 가능 횟수는 약 100,000회입니다. 10만회를 넘지 않도록 하십시오.

1~5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설명합니다. 서보 오프 상태에서 실행하십시오.



1.드라이버 확장 스위치(EXT-IN)로 프리셋 실행(권장)

① POWER LED(녹색)와 ALARM LED(적색)가 깜박일 때까지 확장 스위치(EXT-IN)를 길게 누릅니다.

② POWER LED(녹색)와 ALARM LED(적색)가 깜박이는 3초 동안 확장 스위치(EXT-IN)에서 손을 떼고 다시 누릅니다.

③ 프리셋이 실행되면 POWER LED(녹색)와 ALARM LED(적색)가 모두 켜집니다. 그러면 ALARM LED가 꺼지고 POWER LED(녹색)만 켜집니다.

 


2.당사 지원 소프트웨어 MEXE02의 원격 운전을 사용하여 위치 프리셋 실행 (권장)

 


3.입력 신호 커넥터 CN9의 P-PRESET 입력을 할당하여 프리셋을 실행

당사 지원 소프트웨어 MEXE02를 사용하여 다이렉트 I/O의 4점 중 하나를 P-PRESET에 할당 P-PRESET 입력을 ON으로 합니다.

 


4.통신을 통해 프리셋 실행 (원격 I / O에 P-PRESET을 할당하여 사용)

당사 지원 소프트웨어 MEXE02를 사용하여 원격 I / O에 P-PRESET을 할당합니다.



5.통신을 통해 프리셋 실행 (유지 보수 파라미터 "P-PRESET (10C5h)"사용)

드라이버의 기능 파라미터 - 유지 보수 파라미터의 P-PRESET을 실행합니다.



위치결정・모션 유닛의 「파라미터 1점 기입」의 기능을 사용해 재기록할 수 있습니다.

• 0을 쓰면 실행되지 않습니다.

• 1을 쓰면 데이터가 0에서 1로 변경될 때 명령이 실행됩니다.

• 2를 쓰면 명령이 실행됩니다. 실행 후 자동으로 1로 돌아갑니다.



q
[기타]
열대 통과 처리를 하고 있나요?
close_arrow open_arrow

열대 통과 처리는 하고 있지 않습니다.

선박이나 항공의 수송 창고 내에서 습도나 온도차가 심한 경우 결로 등의 이유로 절연 열화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제품을 밀폐된 용기나 봉투에 탈산 소재를 함께 넣어 운반하는 대책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 열대 통과 처리란?

금속제품이 운송 중 적도부근을 통과하면 습도 상승으로 인한 결로가 발생할수 있음

결로에 의한 절연 열화를 방지하기 위해 금속 제품 자체를 처리하거나 포장 형태를 변경하는 처리를 뜻 함


 

q
[AC]
기어 헤드의 출력축에 풀리를 직결하여 벨트로 동력을 전달시키고 싶습니다만, radial 하중이 커져 버립니다. 어떻게 해야 하나요?
close_arrow open_arrow

 adial 하중은 출력축과 베어링에 직접적인 부하로 작용하기 때문에 수명에 영향을 미칩니다. radial 하중이 커지는 경우의 대책은 아래 2가지가 있습니다.

 

1  1. 기어 출력축에 radial 하중이 직접 걸리지 않도록 기구를 설계하는 방법

 

radial 하중이 걸리지 않는 기구 예로서 외부 베어링을 사용하는 기구가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벨트의 장력이나 부하에 의한 radial 하중이 기어 헤드에 작용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출력축 베어링의 단기 파손, 출력축의 구부러짐이나 반복 하중에 의한 피로 파손 등 radial 하중의 원인에 의한 결함을 없앨 수 있습니다.

 

단, 베어링 수를 늘려 3개로 지지하면 중간 베어링을 기준으로 radial 하중이 가해질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기어헤드 출력축과 풀리 회전축의 조립에는 반드시 플렉시블 커플링을 사용하여 편심, 편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2. 직결의 경우는 허용 radial 하중이 감속비가 큰 감속기를 선택하는 방법


설치 공간 등의 관계로 직결로 구성해야 할 때는 감속기의 허용 radial 하중이 큰 제품을 선정 할 필요가 있습니다.

허용 radial 하중이 큰 기어를 선정하는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 설치 치수가 큰 감속기를 선정한다

- 허용 토크가 큰 기어를 선정한다
(
당사 제품은 허용 토크가 큰 감속기는 허용 radial 하중도 커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 유성 기어와 하모닉 기어를 선정한다
(
유성 기어, 하모닉 기어는 구조상 큰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허용 radial 하중이 높아집니다)

 

또한, 풀리를 직접 설치하는 경우에는 장착 위치를 기어 축 안 쪽에 가깝게 해주세요.


 

q
[AC]
단상 AC 모터에는 왜 커패시터가 필요합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단상 AC 모터를 정해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콘덴서는 단상 AC 모터의 위상을 어긋나게 하여 회전자계를 발생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이 작용으로 모터가 설정 방향으로 돌아가기 위해 필요한 기동 토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콘덴서를 접속하지 않으면 단상 AC 모터가 움직이지 않거나, 역전하거나

의도하지 않은 타이밍에 회전하는 등의 우려가 있습니다

제품의 접속도에 콘덴서가 기재되어 있는 경우는, 부속 콘덴서를 반드시 접속해 주세요.


 

q
[AC]
AC 속도 제어 모터의 회전 속도를 조정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 하면 됩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다음 사항을 확인하십시오. 

 

(1) 회전 중에 제너레이터 선의 전압측정(교류전압)

모터가 회전 중에 제너레이터 발생전압이 0V가 되면, 제너레이터선의 접속불량·단선 등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MSS·W, US는 SPEED OUT단자로 측정)

 

(2) 내부 볼륨과 외부 볼륨을 모두 움직여 본다.

예를들어, 외부볼륨으로 속도를 제어할 수 없는 경우에는 내부볼륨을 움직여 보십시오.

속도가 변경되면서 볼륨 선택이 잘못 되었을 수 있습니다.

 

(3) 볼륨의 단자간 전압 측정

볼륨을 움직여도 전압이 변화하지 않으면 볼륨이 작동하지 않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볼륨 접속 불량, 배선 오류 등을 확인하십시오.​

q
[AC]
인덕션 모터에서 기어헤드를 사용한 경우의 회전 속도는 무엇을 참고하여 생각하면 됩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인덕션 모터는 기어헤드를 설치하여 사용할 때 참고에 대해서는 카탈로그에 [기어헤드 부착시 허용토크] 라는 

일람표를 기재하고 있습니다. 이 일람표에 있는 회전속도의 2~20% 적은 값을 기준으로 해 주십시오.

 

[기어헤드 장착시 허용토크]에 기재된 회전 속도는 동기 회전 속도(50Hz : 1500r/min, 60Hz : 1800Hz/min)를

기어헤드의 감속비로 나눈 환산값입니다. 실제 회선 속도는 무부하 조건에서의 동기 회전 속도보다 몇 퍼센트 

낮은 값으로 회전하며 부하가 커짐에 따라 더욱 낮아집니다.

 

인덕션 모터에 걸리는 부하 토크는 정격 토크로 제한되어 있으며 정격 회전 속도는 50Hz일 때 

약 1200r/min(동기 회전 속도의 -20%), 60Hz일 때 약 1500r/min(동기 회전 속도의 -17%)입니다.

 

q
[기타]
모터의 샤프트에 후가공해도 문제 없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모터의 샤프트에 후가공을 하면 모터 내부의 볼 베어링이나 엔코더에 충격을 주어 파손될 우려가 있습니다.

후가공은 하지 말아 주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