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Search

icon_history icon_history 최근 본 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관심제품
icon_as icon_as 서포트툴
icon_cs icon_cs 고객 서비스

QUICK SEARCH

icon_menu
icon_history icon_history

최근 본 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관심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서포트 툴

icon_cs icon_cs

고객 서비스

이곳은 제품 및 회사에 관련하여 자주 물어오는 질문을 문답형식으로 정리하여 놓은 곳입니다.
이곳에 없는 사항은 고객문의 게시판을 이용하거나 담당자 E-mail로 직접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q
[AC]
전자Brake부착 Motor의 Brake부분의 제어를 SSR로 할 수 있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Zero Cross Type SSR을 사용할 경우, 동작할 수 없습니다.
전자Brake는 전자Brake 내부에 Diode에 의해 반파정류된 전압을 인가하여 제어하고 있기때문
에, zero cross type SSR을 사용할 경우, 전자Brake를 개방할 수 없습니다.
(반파정류 회로를 SSR에 접속한 경우, 교류의 Zero Cross Point를 찾지 못하기 때문에, SSR이
 동작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전자Brake는 개방되지 않습니다.)


q
[AC]
Gearhead의 Backlash 소음은 어느정도 입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Gearhead의 Backlash 소음의 값은 구동소음 값에 따라 나타냅니다. 각 형번의 구동소음 값
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되어 있습니다.

   K 시리즈  : 60mm 각            33dB
                   70, 80mm 각       35 ~ 37dB
                   90mm 각            41dB(GN)  /  44dB(GU)

   V 시리즈 : 60mm 각            26dB
                  70, 80mm 각       29dB
                  90mm 각             32dB

V 시리즈와 K 시리즈를 비교하면, V 시리즈가 K 시리즈에 비해 구동소음 값을 6dB정도 저감하
고 있습니다.

※ (1) 구동소음 값은 Gearhead측면에서 1m의 거리를 두고 A Range로 측정한 값입니다.
    (2) dB이란, 어떤 양과 다른 양 (단위는 같은 것)과의 비를 나타낸 단위입니다.
    (3) 구동소음 Level의 기준 (참고)
         20dB --- 나뭇잎이 흔들리는 소리
         30dB --- 심야의 교외
         40dB --- 조용한 공원
         50dB --- 조용한 사무소

q
[AC]
동일한 Motor와 Gearhead를 구입하였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 사용했던 Motor에 비하면 소음이 큰 것 같습니다. 정상인 것인지요?
close_arrow open_arrow

기본적으로 동일한 조건에서 회전시킬 경우 발생하는 소음은 거의 변하지 않습니다. 단, 부하
조건에 따라 소음이 크게 느껴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점을 확인
하여 주십시오.

   1) 비교대상의 Motor와 부하조건이 변하지 않았습니까?
       ◆ 무부하 시의 소음에 대해서
           Gearhead의 Backlash 소음은 부하 상황에 따라 다르게 됩니다.
           예를 들면, 무부하의 경우, 회전시에 치차가 튀어버려, 연속적으로 치차가 충돌
           하며 회전하는 것에 의해 진동이 생겨 소음이 발생합니다.
           이 소음은 마찰부하가 걸리는 것에 의해 소음이 억제될 수 있습니다.

   2) Work가 공진하여 소음이 크게 되지는 않았습니까?
       부하 상태와 취부 면에서의 고정 방법 등을 확인하여 주십시오.

   3) Motor Shaft에 손상이 있지는 않습니까?    
       ◆ 치차 손상음에 대해서
           Motor에 장착 시 또는 과부하 등으로 내부 치차의 피로에 의해 치차에 손상이 발
          생하여 Motor 회전 시 이상음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Gear 조립 시에는 치차에 손상이 생기지 않도록 신중하게 취급하여 주십시오.


>> 보다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시고자 할 경우는 기술지원센터(T.02-2026-5492~3)로 문의하여
    십시오.

q
[Stepping]
TH 기어타입의 커플링을 찾고 있습니다만, AC모터용 MCL커플링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AC MOTOR용 MCL커플링은 상용 Torque등의 조건이 맞는다면 쓸 수는 있지만, 1 ~ 2°의
Backlash가 있기 때문에 TH 기어타입과의 조합에는 적당하지 않습니다. TH 기어 타입의
적용 커플링으로 Backlash 가 0인 MCS 커플링이 있습니다. 또한, MCS 커플링은 당사의
제어용 Gear(TH Gear, PL Gear, PN Gear, 하모닉 Gear) 모든 타입에 조합할 수 있습니다.

q
[Stepping]
스테핑 모터(αSTEP 포함)의 정지시 자동 Current Down기능에 대해서 알려 주십시오.
close_arrow open_arrow

자동 커런트 다운 기능은 모터 정지시의 전류를 낮춤으로써 발열을 억제하는 기능입니다.

발열억제목적으로 자동 Current Down기능을 드라이버에 내장하고 있습니다. 

자동 Current Down 기능으로 운전 시 모터 운전 전류

스위치에 의해 설정된 전류값의 약 50%의 전류가 모터에 흐릅니다.

여자최대정지 Torque에 대해서도 모터 운전전류 스위치 설정의 50%의 Torque가 됩니
다. 자동 Current Down 기능이 작동하는 타이밍은 Pulse입력 (CW/CCW)이 0.1초 이상
입력되지 않은 경우입니다.


자동 커런트 다운의 출하 시 설정에서는 약 50%이므로 정지 중의 유지 토크는 여자 최대 정지 토크의 약 50%가 됩니다. 유지 토크도 변경됩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시리즈의 사용 설명서를 참조하십시오.

q
[Stepping]
α- STEP은 모터가 동작을 종료한 후 위치결정완료(END)신호가 출력이 ON이 되는 조건을 알려 주십시오.
close_arrow open_arrow

위치결정완료(END) 신호가 출력되는 조건은 아래의 두가지 (1) (2)가 모두 만족했을 때
출력됩니다.

(1) Pulse입력 주파수가 500Hz이하
(2) 로터가 지령된 위치에 대해서 ±1.8° 이내

 

 

※펄스 신호의 입력 주파수가 500Hz 이하로 동작하고 있을 때는, END 출력이 부정기에 ON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q
[Stepping]
UPK W 시리즈 드라이버에는 보호 접지단자(PE : PROTECTIVE EARTH)가 있습니다만, 보호접지단자의 역할을 가르쳐 주세요....
close_arrow open_arrow

UPK W시리즈 드라이버에 설치되어있는 보호접지단자는 드라이버(회로내부)의 파손에
의해 드라이버 CASE (금속 도전부)에 발생한 위험 전압을 EARTH로 보내기 위한 (감전
방지)단자입니다. 또, 외부로부터의 방사 노이즈 영향이나, 전원 라인의 노이즈를 흡수
해 EARTH로 보내는 SHIELD기능의 역할도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드라이버의 보호접지 단자는 EARTH와 연결하여 주십시오. 또, 보호 접
지 단자와 보호 도체 사이에 설치하는 보호접지선은 드라이버 입력 전류의 최대용량으
로부터 AWG18 (0.75㎟)이상의 것을 사용해 주십시오.

q
[Stepping]
MOTOR SHAFT에 가해지는 하중이 허용OVERHUNG 하중보다 커져 버립니다. 대책을 가르쳐 주세요...
close_arrow open_arrow

허용값을 넘으면 모터 내부의 볼베어링의 단기피로(※1) SHAFT의 반복 하중에 의한 피
로파손을 부를 우려가 있습니다. 따라서, 그림1과 같이 직접 접속하지 않고, 그림2와 같
이 구동부와 SHAFT를 커플링으로 접속해 MOTOR SHAFT에 직접 부하가 가해지지 않도
록 해 주십시오.

※ 1 : 허용 OVERHUNG 하중 이내이면 특히 피로 수명에 관해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만, 허용 OVERHUNG 하중 이상의 하중이 가해졌을 경우 볼베어링의 피로수명은
         하중이 n배가 되면 수명은 1/n³배가 되어 현저하게 수명이 짧아집니다.....



q
[Stepping]
UPK W 시리즈를 저속(120rpm 이하)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만, 진동에 따라 회전 속도변동이 문제가 되고 있습니다. 대책으로 마이크로 스텝 구동 방식의 UFK W 시리즈를 사용하면 어느정도 회전속도 변동이 저감될 수 있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마이크로스텝 구동방식의 UFK W (드라이버와 MOTOR 크기 동일)를 사용하는 것으로
저속영역의 회전속도변동을 저감할 수 있습니다. 아래에 UPK W시리즈와 UFK W의 속
도 변동률의 비교를 나타냅니다...
 
(참고값)

회전수(rpm)

30

60

120

UPK566BW2
(FULL STEP)

값이 크기때문에
측정불능

±6.2 %

±6 %

UFK566BW
(10 분할)

±0.7 %

±1.6 %

±2.3 %

측정조건      부하관성모멘트 : 0 ㎏㎡
                   샘플수 : N = 1
                   측정기 : 目黑電波測定器製
                                1000펄스 엔코더 (NIKON제)




<회전속도변동률>
  속도변동이 없으면 항상 일정한 회전수를 엔코더로부터 검출할 수가 있습니다. 실제
  로는 아래와 같은 속도변동이 생깁니다.
                               

회전속도변동은 다음 식(1)에서 구할 수 있습니다.
                               
보충
스테핑 모터는 원리적으로는 시계의 초침과 같이 동작이 반복되어 회전하고 있습니
다. 저속에서는 ROTOR의 진동하는 동작이 진동의 원인이 됩니다. 이와 같이 스테핑
모터의 진동은 ROTOR의 회전 속도 변동에 의해 생깁니다.

q
[Stepping]
RK566AMA에서 상하구동을 검토하고 있는 중입니다만, MOTOR가 정지시 자동 CURRENT DOWN기능에 의해 모터의 유지력이 어느 정도 감소하는지 가르쳐 주십시오.
close_arrow open_arrow

TORQUE는 식(1)에의해 MOTOR권선의 턴수(n)와 전류값(A)에 비례합니다.

이 식에 의해 운전전류값의 50%가 CURRENT DOWN에 대응하는 정지시 전류값에 설정
되어 있는 경우 정지 시 MOTOR의 유지 TORQUE는 여자 최대 정지 TORQUE의 약 반으
로 됩니다. RK566AMA MOTOR의 정지 시 전류값은 출하 시에 운전 전류 값의 약 50%가
정지 시 전류 값으로 설정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정지 시의 MOTOR 유지 TORQUE는
RK566AMA의 여자최대정지 TORQUE 8.3[kgcm]의 약 반인 4.1[kgcm]로 됩니다.

또한, 정지 시 전류값의 설정 가능 범위는 운전 전류값의 50% 이하입니다. 그렇기 때문
에, 최대에서도 정지 시의 MOTOR의 유지력은 4.1[kgcm]로 됩니다.
당사의 드라이버는 자동 CURRENT DOWN 기능에 의해 MOTOR 정지 시에 전류 값을 자
동적으로 DOWN시켜 모터와 드라이버의 발열을 억제하고 있습니다.
자동 CURRENT DOWN 기능은 PULSE 정지 시 약 0.1초 후에 모터정지 시 전류로 전환합
니다.
하지만, 상하 구동을 할 경우에는 외부 부하가 정지 시 유지 TORQUE 보다도 크게
되지 않도록 하여 주십시오.
정지 시 유지 TORQUE 확인 후 외부 부하가 정지 시 유지TORQUE 보다도 크게되는 경우
에는 형번이 큰 모터를 사용하여 주십시오.


또한, 정전시의 WORK의 위치유지 및 낙하방지에는 電磁 BRAKE 부착 TYPE을 권합니다.
그리고, RK 시리즈에는 저전력 모드가 있습니다. 이 모드를 이용하면 電磁 BRAKE 유지
후 자동적으로 모터의 전류도 OFF 합니다. 발열저감 및 저전력화에 적합한 기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