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uick Search

icon_history icon_history 최근 본 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관심제품
icon_as icon_as 서포트툴
icon_cs icon_cs 고객 서비스

QUICK SEARCH

icon_menu
icon_history icon_history

최근 본 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관심제품

icon_choice icon_choice

서포트 툴

icon_cs icon_cs

고객 서비스

이곳은 제품 및 회사에 관련하여 자주 물어오는 질문을 문답형식으로 정리하여 놓은 곳입니다.
이곳에 없는 사항은 고객문의 게시판을 이용하거나 담당자 E-mail로 직접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q
[Stepping]
α - STEP, UPK W, UFK W시리즈 드라이버 I/O부의 컨넥터는 리드선을 납땜할 필요가 있습니다만, 적용 리드선 SIZE를 가르쳐 주세요.
close_arrow open_arrow

I/O부 컨넥터 적용 도선은 AWG28(도체단면적 : 0.09㎟)입니다. 또한, α - STEP, UPK W,
UFK W시리즈는 귀찮은 납땜이 필요없고, 노이즈 대책이 되어있는 전용 접속 케이블을
옵션으로 갖추고 있습니다.

<컨넥터 부 SHIELD CABLE>
컨트롤러와 드라이버 사이의 노이즈 대책에 최적입니다. 한쪽 편은 고객의 발진기, 컨
트롤러와 접속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EMC 대책을 검토하고 있는 고객에게
추천합니다.

  주의 : 컨넥터 측에서는 FG접지를 하지 않습니다. 그 때문에 노이즈 대책에 사용하는
           고객은 반드시 컨트롤러 접속 측에 라고 되어 있는 드레인(※ 1)을 프레임 그랜
           드(FG 또는 PE단자)에 연결해 주십시오.

※ 1 드레인 :
       가는 주석도금동선으로 짜여진 것이 편조SHIELD입니다만, 컨트롤러 접속측 장소에
       1개 라인이 되어 있습니다.

q
[Stepping]
UPK W 시리즈 드라이버 입력 신호는 5V로 설계되어 있습니다만, 24V로 입력하는 경우는취급 설명서와 카다로그에서 외부 저항이 필요하다고 기재되어 있습니다. 외부 저항을 선정할 경우 PHOTOCOUPLER 입력전류값은 20mA이하로 되어 있습니다만, 몇 mA이상이되면 가능한 것입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10mA이상을 권하고 있습니다만, pulse입력전압을 24[V]로 한 경우에 외부저항 R는
1 ~ 2.2㏀ 1/2W 이상의 저항을 사용하여 주십시오. 일반적으로 적용 가능한 1, 1.2, 1.5,
1.8, 2.2㏀ 1/2W 이상의 저항을 권합니다.

적색 글자는 2 PULSE입력방식인 경우의 신호를 나타내고, 흑색 글자는 1PULSE입력방식
인 경우의 신호를 나타냅니다.

   주의 : Vo = 5V의 경우에는 외부저항 R는 필요없습니다. Vo가 5V를 넘은 경우에는
              외부저항 R를 접속하여 입력전류가 20mA이하로 되도록 하여 주십시오.

외부저항 R[ Ω]는 다음과 같이 구합니다.

여기에서,

                    Vo : PULSE입력전압 [V]
                    I    : 포토커플러에 흐르는 전류 [A]

I 는 10 ~ 20mA로 되기 때문에
         

로 됩니다. 이 저항용량 W는
                      
로 됩니다.

q
[Stepping]
감속기 부착 MOTOR의 출력축에 PULLEY를 직결하여 벨트에 동력을 전달시키고자 합니다만, OVERHUNG 하중이 크게 됩니다. 어떻게 하면 좋겠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OVERHUNG 하중은 출력축 및 그의 베어링부에 직접적인 부하로서 작용하기 때문에 수명
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OVERHUNG 하중이 크게 된 경우의 대책으로서는 아래와 같이 두
가지가 있습니다.

방법 1
GEAR출력축에 OVERHUNG하중이 직접 걸리지 않도록 기구를 설계한다.

방법 2
직결의 경우는 허용 OVERHUNG하중이 큰 GEAR를 선정한다.

(방법 1)
OVERHUNG하중이 걸리지 않는 기구의 예를 들면 아래 그림과 같이 OVERHUNG하중을 외
부의 베어링에서 받도록 하는 기구가 있습니다. 이와같이 하면 벨트의 장력과 부하에따른
OVERHUNG하중은 직접 GEARHEAD에작용하지 않게 됩니다. 따라서, 출력 축 베어링의 단
기파손, 출력축의 휘어짐과 반복조작되는 하중에 의한 피로 파손 등 OVERHUNG하중의 원
인에 의한 불량이 나지않게 할 수 있습니다.

(방법 2)
조립 공간등의 관계로 직결로 하지않으면 안되는 경우는 GEAR의 허용 OVERHUNG하중이
큰 것을 우선 선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허용 OVERHUNG하중이 큰 GEAR를 선정하는 기준
은 다음과 같습니다.

> 조립SIZE가 큰 GEAR를 선정한다.


> 허용 TORQUE가 큰 GEAR를 선정한다.
   (당사제품은 허용 TORQUE가 큰 GEAR는 허용 OVERHUNG하중도 크게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유성 GEAR와 HARMONIC GEAR를 선정한다.

   (유성 GEAR와 HARMONIC GEAR는 구조상 큰 베어링을 사용할 수 있기때문에 허용
     OVERHUNG 하중도 강하게 됩니다.)


또한, GEARHEAD는 편하중을 받는 구조이므로 직결될 경우는 PULLEY의 조립위치를
GEARHEAD에 가깝도록하여 주십시오.

q
[Stepping]
UPD 시리즈 電磁 BRAKE부착 TYPE에서 UPK W시리즈 電磁BRAKE TYPE으로 치환을 하고싶다. UPD시리즈에서는 싸이리스터가 첨부되어 있습니다만, UPK W 시리즈에서는 싸이리스터가 첨부되어 않았습니다. 왜 UPK W 시리즈에는 싸이리스터가 첨부되어 있지 않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싸이리스터(※1)는 電磁BRAKE용 전원 OFF (유지시킨다.)시에 생기는 SURGE 전압(※2)을
흡수합니다.
UPK W, UFK W 시리즈의 電磁 BRAKE 부착TYPE은 드라이버에 電磁BRAKE
용 전원이 일으키는 SURGE전압을 흡수하는 회로가 있기 때문에 싸이리스터가 첨부 되어
있지 않습니다.
하지만, UPD시리즈는 고객이 電磁 BRAKE용 전원을 준비할 필요가 있고, 고객의 전원보호
를 위해서 싸이리스터가 첨부되어 있습니다.

※1

싸이리스터 : 일반적으로는 바리스터라고 부릅니다. (싸이리스터는 상품명) 바리스터는
                   전류를 줄어들게 하여 저항값이 변화하는 소자입니다. 접점사이의 SURGE
                   전압 흡수회로용 등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2
SURGE전압 : 인덕턴스 성분이 있는 코일은 전원을 절환하면 코일의 양단에 SURGE전압
                    (역기전력)을 일으키게 합니다......

q
[AC]
감속기를 사용하여 MOTOR의 회전을 1 / 18000로 할 수 있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감속비 1 / 180의 감속기와 감속비 1 / 10의 중간감속기를 2개 접속하면 가능합니다.
허용 TORQUE는 1 / 180의 감속기만을 사용한 경우와 같습니다. 또한, 조립 나사는 별도로 긴 것을 준비해 주셔야 됩니다.

q
[AC]
카다로그에 정격 TORQUE와 허용TORQUE가 있습니다. 차이점을 가르쳐 주십시오..
close_arrow open_arrow

정격 TORQUE는 MOTOR가 정격전압, 정격주파수에서 정격 출력을 연속적으로 낼 때의 TORQUE를 말합니다. 즉, 정격 회전속도에서의 TORQUE 입니다.
허용 TORQUE는 MOTOR를 운전하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최대 TORQUE를 말합니다.
MOTOR의 정격 TORQUE, 온도상승, 조립되는 감속기의 강도에 따라 제한됩니다.

q
[AC]
AC 모터에 조합할 수 있는 감속기의 Backlash는 어느정도 입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INDUCTION MOTOR 등의 AC 소형 표준 모터에 조합할 수 있는 감속기의 출력 축에는 1 ° ~ 2 °(참고값)의 Backlash가 있습니다.
이 값은 감속기의 크기나 감속비, 종류에 따른 치절형상의 차이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거의 이 범위의 값이 됩니다.

q
[기타]
분주체배나 전자기어 기능은 어떠한 때에 사용하는 것일까요?
close_arrow open_arrow

전자기어 · 분주체배란 기계적인 변속기를 장착한 경우과 같이 드라이버로 회전속도 · 회전량을 변화시켜 모터를 회전시키는 기능입니다.
전자기어, 분주체배의 설정에 대하여 모터의 분해능은 아래와 같이 됩니다.

 

이와 같이, 전자기어, 분주체배의 설정에 의해 임의로 모터의 분해능을 바꿀 수가 있습니다.

           · 기구에 맞춰 1PULSE당 이동량을 설정할 수 있다.
           · PULSE속도를 바꾸지 않고, 감속/증속이 가능하다.
             (단, 기계적인 변속기와는 달리 TORQUE는 바뀌지 않습니다.)


아래에 사용 예를 나타냅니다.


(1) 모터의 이송량을 1PULSE당 0.1 ˚ 로 하고싶은 경우
      분주체배 = 3600, 전자기어 = 1.00으로 하면 모터의 분해능이 3600이 됩니다. 따라서, 3600PULSE
      로 모터가 1회전 합니다.


(2) 10000 PULSE로 모터를 3회전 시키고 싶은 경우
      분주체배 = 10000, 전자기어 = 3.00 으로 하면 가능합니다.
      분주체배만의 경우에는 3333.333 p/rev로 정수로 설정할 수 없기 때문에, 정확하게 위치결정을 할
      수 없습니다. 전자기어 기능을 사용하면 실현 가능하게 됩니다.
      당사 제품에서 분주체배 · 전자기어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을 FXE시리즈가 있습니다.

q
[기타]
BX시리즈 운전 중에 디지털 회전속도 설정으로 회전속도 변경을 할 수 있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제어모드에 따라 다릅니다. 속도제어 모드에서는 가능합니다만, 위치제어 모드에서는 불가능합니다.

>>> 속도제어 모드에서의 변경방법 <<<
OPX - 1을 사용하여 운전 중 회전속도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회전속도 변경은 OPX-1「프로그램모드(PROG)」의 「운전 데이터(data-*) 회전속도(rev*)」에서 변경하고 싶은 회전속도 설정값을 입력하고, 「SET」Key를 누르면 유효하게 됩니다. (회전속도 설정값 입력 중에는 모터의 회전속도는 변하지 않습니다.「SET」Key를 누른 후에 모터의 회전속도가 변합니다.)
「SET」Key를 누른 후 모터의 회전속도의 변화 정도는 SLOW START 시간(tA)의 설정값([ms/3000rpm] 속도차 3000rpm 당 시간)에 따라 변합니다.

q
[기타]
AC SERVO MOTOR도 STEPPING MOTOR와 같이 탈조하는 일이 있습니까?
close_arrow open_arrow

AC SERVO MOTOR의 경우에는 STEPPING MOTOR와 같이 자기동주파수와 가감속시간의 설정에 따라 MOTOR가 탈조하는 일은 없습니다.